Back

중국어로 “밤새다”를 어떻게 표현할까요?(동영상)

중국어로 “밤새다”를 어떻게 표현할까요? 보통 낮의 하루종일은 “一天”, 밤의 하루종일은 “一宿”으로 표현합니다. 그래서, “一天一宿”은 낮, 밤 합쳐서 24시간이라는 뜻이랍니다! (예문) 我和朋友喝了一宿酒。: 나와 친구는 밤새서 술을 마셨다. 我玩儿了一天一宿。: 나는 하루종일(24시간) 놀았다. ​ (+) 중국은 옛날에 쓰던 단어를 지금도 쓰는데요~ 그 중 하나가 바로 “更(경)”입니다. (예문) 三更半夜 : 심야, 한밤중 一更 : 저녁 7~9시 二更 : 밤 …

중국어 단어 “斤”의 유래(동영상)

이번 시간에는 단어 “斤”의 유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한 근”이라고 쓰이는 “一斤”은 600g이죠~ “斤”의 원래 뜻은 “斧头”, 즉 도끼라는 뜻인데요. ​ 춘추전국시대 때, 越(월)나라와 吴(오)나라 간의 전쟁이 일어났고, 중국 4대 미인 중 西施(서시)의 남편인 范蠡(범려)가 吴(오)나라의 왕에게 아내를 보내 吴(오)나라를 멸망시켰습니다. 그들은 후에 越(월)나라를 떠나 주로 쌀을 팔았었는데, 그 때는 도량형이 통일되기 전이어서 기준이 불규칙적이었답니다. (도량형 …

중국어 而立、不惑、知天命、花甲、古稀의 뜻은 뭘까요?(동영상)

이번시간에는 而立、不惑、知天命、花甲、古稀의 뜻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而立、不惑、知天命、花甲、古稀 어디선가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환갑, 지천명 같은 단어는 들어보셨죠? 중국에서도 10단위로 나이를 지칭하는 단어가 따로 있답니다~ ​ * 三十而立 : 서른, 30대 * 四十不惑​ : 마흔, 40대 * 五十知天命 : 쉰, 50대 * 六十花甲 : 예순, 60대 * 七十古稀 : 일흔, 70대 ​ 평소 회화에는 잘 쓰이지 않지만, 중국문학을 …

중국어를 배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동영상)

중국어를 배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단어? 발음? 어법? 지식? 이번 시간에는 어느 것에 중점을 두고 중국어를 배울지 의논해봅시다~! ​ 반대로, 가장 중요하지 않은 것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발음”입니다! 경상도에서 사는 사람이 서울에 가도 똑같은 사투리를 구사하듯이 중국인들도 각자 지역마다 사람마다 말투가 다릅니다. 중요한 것은 流利程度! 유창하게 하는 정도가 가장 중요하답니다! ​ 그러면, …

[중국문화] 중국 차(茶)의 종류를 알아봅시다!(동영상)

오늘은 중국 차(茶)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중국 차(茶)는 발효도에 따라서 6가지로 나뉘는데요~ 하나씩 구분해봅시다! ​ 1. 白茶(백차) – 발효도 0~10% 백차는 발효와 같은 가공을 거의 하지 않고, 그대로 건조만 시킨 차입니다. 가공을 거의 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수량이 적은 게 특징입니다. ​ 2. 黄茶(황차) – 발효도 10~20% 황차는 발효도가 낮은 차로, 녹차와 비슷한 과정을 거치지만 열과 …

“长颈鹿” (기린)의 유래(동영상)

오늘은 기린의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麒麟 : 기린. (사슴 형상에 뿔이 있고, 전신이 비늘로 덮여 있고, 꼬리가 있는 상상속의 영험하다고 일컬어지는 동물) qílín 중국 명나라 시기, 황제는 郑和(정화)라는 사신을 아프리카에 파견을 보내어, 세계의 정세를 두루 살피려고 했습니다. zhènghé 郑和(정화)는 아프리카에 도착해 목이 긴 동물을(기린)을 보고 너무 신기해 했고, 황제에게 보여드리니, 황제는 이를 영험하다 하여 麒麟(기린)이라 …

《棉花糖》

那年,老家的炊烟像云朵一样悠悠地飘着。 晌午,父亲拖着一身的泥巴吭哧吭哧地走回家。这日头!父亲心里一阵嘀咕。 “回来了?”母亲把毛巾递给父亲。 “嗯,先喝口水。”父亲走到水缸边,用勺满满地盛了一碗凉水,咕噜一声灌进肚里。 我那时年龄小,每天屋里屋外跑。父亲背着一大摞农具进院门时,我每次比母亲跑得快。 “丫头,又看我喝水?”父亲滴着汗珠朝我笑。 “甜吗?爹。”我两手搭着缸沿咯咯地笑弯着头。 “甜,很甜,像吃棉花糖。”爹又笑。 于是那天起我记住了棉花糖的滋味,做梦也想吃棉花糖。后来我上学了,看到学校的门口有流动的商贩卖好看的棉花团一样的东西。同学们说那是棉花糖。棉花糖?我禁不住诱惑,用零碎的硬币买了一小团吃。真的很甜,还带着香味。 回家的路上,我一直想着父亲陶醉的样子。父亲说缸里的水是棉花糖味,这是真的吗?难道是棉花糖化了变的? 我急切地穿过窄窄的田埂,我没见到父亲行走的身影,却看见母亲提着竹杆沿着河塘在追赶鸭群。 我打开家门,扔下书包就蹿到院里的水缸边。我个子矮,踮着脚看不到水的影子。我端来一把椅子站上去,才终于看见那一汪被父亲快喝光了的棉花糖水。 “你不要命了?”母亲不知啥时候进来的,见我的头隐没在缸里,大叫起来。 我后来对母亲说:“没有您一声叫,我也许就掉不进缸里去,也不会明白缸里的水根本不是棉花糖的味。” 父亲惊慌地把我湿漉漉从缸里拎了出来,嘴里咕噜噜地想说什么。然后我看见父亲舀了一瓢水喝,父亲那会儿喝水的样子一点也不好看。当然我不敢问缸里的水甜不甜,因为我已经知道水不是棉花糖味的。 惊魂未定的母亲给我换干衣服后去了堂屋,我根本没想到她会去找那根赶鸭的竹杆来打我。 “你这是作啥?放下!”父亲扔了水瓢吼道。 “今天不打她一下,明天还会掉进缸去。”母亲气着说。 我受了太大的惊吓,在两个水缸缝隙里躲藏。 “出来!”父亲朝我喊。 我从缸缝里看见父亲的脸铁青,筋脉一根根在颤抖。 “不出来我要砸缸了!”父亲嗓门特别大。 我只好出来,我想父亲一定不会打我,因为他从来没打过我,刚才还阻止了我母亲的竹杆。但我很快感到不妙了,父亲的眼睛转来转去显然是在寻找打我的家伙。 果然父亲在堆满农具的墙角一顿乱翻,第一次他拿起一根粗大的竹棍子走到我跟前,把我吓得半死。第二次他换成扁担又走到我跟前,我哭着求饶。第三次他拿起一顶草帽,我破涕为笑。然而父亲还是没打下来。而这时让我惊奇的是父亲蹲在地上拼命地在拔一根草。拔草作啥?我呆呆地看着父亲。 “站好了!”父亲站起身命令我。 我很听话,毕恭毕敬地站着。 随着一阵风吹过颈部,父亲说惩罚结束。原来父亲用那根草在我脸上打了一下。我用手摸了摸自己的脸。有点痒。 晚上,父亲来到我床头边,问:“丫头,疼吗?” 我大哭起来,紧紧地抱住了父亲。 “小孩子不能喝生水,要得病的。”父亲微笑着对我说。 “今天我买了棉花糖吃,爹不是说缸里的水和棉花糖一个味吗?”我伤心地说。 “爹骗你的。”父亲愣愣地看着我。 父亲走的那年我正读大学。有一天,我接到加急电报,告知父亲病危的消息,我连夜乘火车赶回老家。 父亲一直等着我,在病床上他老泪纵横地捏紧着我的手。可父亲的手冰冷。 “爹…….这辈子…….只打过你……一次。”父亲喘着气说。 “您……一次……也没打过。”我感动得泣不成声。 母亲在一边默默地流着泪。 “爹,还记得这个吗?我把它带回来了。”我从书包里取出一个小布包,一层层地打开。 “一根草?”周围的人全惊讶万分。 我把那根草轻轻地放到父亲的手心上,然后我把自己的手放上去,再把父亲的五指合起来。 出殡那天,我看见那根草一直在父亲的手里攥着,父亲攥得很紧很紧。

一副名扬中外的画 mp3녹음

  内容: 北宋时候,有位画家叫张择端。他画了一幅名扬中外的画——《清明上河图》。这幅画长528厘米,高24.8厘米,画的是北宋都城汴梁热闹的场面。这幅画已经有八百年多年的历史了,现在保存在北京的故宫博物院里。 张择端画这幅画的时候,下了很大的功夫。光画上的人物,就有五百多个:有从乡下来得农民,有撑船的船工,有做各种买卖的生意人,有留着长胡子的道士,有走江湖的医生,有摆小摊的摊贩,有官吏和读书人……三百六十行,哪一行的人都在这上面了。 画上的街市可热闹了。街上有挂着各种招牌的店铺、作坊、酒楼、茶馆……走在街上的,是来来往往、形态各异的人:有的骑着马,有的挑着担,有的赶着毛驴,有的推着独轮车,有的悠闲地走在街上溜达。画面上的这些人,有的不到一寸,有的甚至只有黄豆那么大。别看画上的人小,每个人在干什么,都能看得清清楚楚。 最有意思的是桥北头的情景:一个人骑着马,正往桥下走。因为人太多,眼看就要碰上对面来的一乘轿子。就在这个紧急时刻,那个牧马人一下字拽住了马笼头,这才没碰上那乘轿子。不过,这么一来,倒把马右边的两头小毛驴吓得又惊又跳。站在桥栏杆边欣赏风景的人,被小毛驴惊扰了,连忙回过头来赶小毛驴……你看张择端的这幅画是多么传神啊! 《清明上河图》使我们看到了八百年以前的古都风貌,看到了当时普通老百姓的生活情景。 내용정리: 울산 한솔중국어학원

画[mp3녹음]

  《画》 远 看 山 有 色, 近 听 水 无 声。 春 去 花 还 在, 人 来 鸟 不 惊。 병음: yuǎn kàn shān yǒu sè, jìn tīnɡ shuǐ wú shēnɡ. chūn qù huā hái zài, rén lái niǎo bù jīnɡ. 作品译文 在远处可以看见山有青翠的颜色,在近处却听不到流水的声音。春天过去了,但花儿还是常开不败,人走近了,枝头上的鸟儿却纹丝不动。   멀리서 보니 색이 있는 산이 보이고, 가까이 가니 흐르는 물소리를 …

수강료안내
수강료결제
학습공간
0
방바구니